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지난 1월,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의 원인으로 ‘기내 선반에 실렸던 보조배터리’가 지목되고 있다. 아직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진 않았지만 기내 선반에서 화재가 시작되었다는 정황상 리튬배터리가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있다.

    이에 국토교통부가 3월부터 비행기 사고 예방과 승객 안전을 위해 조금 더 강화된 <리튬이온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 안전관리 체계 강화 표준안>을 시행하기로 했다. 비행기 탑승 시 보조배터리나 전자담배를 소지하는 경우 기내 반입 용량과 수량 제한 기준을 미리 확인하고 대비해야 한다.

     

    1. 전자기기의 위험성

    보조배터리

     

    현재 보조배터리 등 리튬배터리는 사람이나 항공기에 해를 가할 수 있는 ‘항공 위험물’로 분류되고 있는데, 이유는 전자기기에서 주로 사용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압력이나 충격에 의해 폭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배터리가 충격이나 압력을 받아 불이 나면 큰 화재로 이어지게 되어 매우 위험하다.

     

    문제는 기내 반입이 허용된 용량이라고 하더라도 선반에 배터리를 넣어 보관하면 다른 짐에 눌려 배터리가 뜨거워져도 쉽게 알 수 없기때문에 가급적 기내 선반에 넣기보다 승객이 직접 휴대하는 것이 사고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반응형

    2. 기내 반입 용량 및 수량 기준

     

    휴대전화용 보조 배터리를 포함한 리튬 배터리는 기내 휴대만 가능하다. 여분의 카메라·노트북 배터리도 해당되며 보조배터리 반입 용량과 수량 제한 관련 기준은 배터리 전력량(Wh)에 따라 다르다. 100Wh 이하 최대 5개, 100~160Wh 2개, 160Wh 초과 시 반입이 금지되고 이 기준을 초과해 반입하려면 체크인 카운터에 신청해 항공사에 별도의 승인을 요청받아야 한다.

    용량 가능 수량 내용
    100Wh 이하 최대 5개 -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20,000mAh 이하의 보조배터리
    - 5개 초과 시 항공사 승인 필요
    - 의료 목적 등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만 허용
    100~160Wh  2개 - 30,000mAh 이상 고용량 배터리
    - 항공사 승인 하에 2개까지만 허용
    160Wh 초과 기내 반입 금지 - 캠핑용 50,000mAh 배터리

     

    3. 보조배터리 기내반입 방법

    보조배터리 기내반입방법

     

    보조배터리를 기내 반입할 땐 단락방지 조치를 취해야 하며 아래 3가지 방법 중 단락방지 조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조치해야 한다.

     

    1. 충전 단자(매립형 및 돌출형 포함)가 금속과 접촉하지 않도록 충전 단자 보호용 캡을 부착

    2. 절연테이프로 커버하기

    3. 보호형 파우치 또는 비닐봉지(지퍼백) 등에 넣어 보관

     

    항공사는 체크인 카운터와 기내에 단락 방지용 투명 비닐봉지를 비치해 지원할 예정이고 전자담배는 단락 조치를 하지 않아도 되지만 몸에 소지하거나 좌석 주머니에 보관해야 한다.

     

    4. 기내 금지사항

    기내금지사항

     

    금지사항 내용
    기내 선반 보관 금지 -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 등은 기내 선반에 보관하는 것이 금지(25.3.1.기준)
    -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는 승객이 직접 소지하거나 좌석 앞주머니에 보관
    다만, 비상구 좌석과 같이 앞좌석 주머니가 없는 경우에만 승무원 인지하에 선반 보관이 가능
    보조배터리 간 충전 금지 - 보조배터리를 기내 전원과 연결하거나 보조배터리 간 충전하는 행위 금지
    - 보조배터리는 휴대전화 등을 충전할 때만 사용 가능하고 끝나면 반드시 단락 조치를 해야 한다.

     

    5. 공항보안검색 강화

    미승인 보조배터리 반입 등 규정 위반이 의심되거나 항공사 요청이 있을 경우 짐을 개봉해 추가 검색을 실시할 예정이며 만약 미승인 보조배터리가 적발되면 해당 항공사에 인계해 확인·처리하고 적발 건수를 항공사에 통보해 자체 시정 요청을 하는 등 공항 보안검색도 강화된다.

     

    전자지기 반입규정 강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