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비염은 꽃가루, 집먼지진드기, 반려동물털 등의 특정 항원에 면역계가 과민 반응해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한국 인구의 15~20%가 이 질환을 앓고 있으며 2012년에 비해 2022년 19세 이상 성인의 알레르기 비염 진단율은 4.4% 증가했다.

1.비염의 종류

 

알레르기 비염은 통년성과 계절성으로 나뉜다. 통년성 비염은 1년 내내 코감기 같은 증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주로 집먼지진드기와 같은 실내 알레르기 유발 물질 때문에 발생한다. 최근에는 반려동물의 털과 비듬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계절성 비염은 계절별로 증상이 나타난다. 봄철에는 꽃가루가 주요 원인이며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이 증상을 악화 시킬 수 있다.

2. 비염의 증상

 

알레르기 비염의 대표적 증상으로는 콧물, 코막힘, 재채기가 있다. 일반적인 감기와 증상이 비슷해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으나 감기는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급성 질환으로 대개 1~2주 내 호전되고 비염은 특정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수개월에서 수년간 지속될 수 있다. 그렇기때문에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전문의의 검사와 진단이 필요하다.

 

알레르기 비염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부비동염, 삼출성중이염, 수면무호흡증 등의 합병증이 생기고 특히 어린 환자는 구강으로 호흡하는 습관때문에 얼굴 변형, 치아부정교합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가려움증으로 얼굴을 자주 비비는 습관이 있으면 피부 변색이 일어날 수 있다.

반응형

3. 치료방법

 

치료방법은 크게 회피요법, 약물요법, 수술요법, 면역요법으로 나뉜다.

구분 내용
회피요법 - 알레르기 비염을 유발하는 원인 물질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원인 물질과의 접촉을 피할 수 없다면 약물요법을 쓸 수 있다.
약물요법 - 항시스타민제, 비강내 스테로이드 스프레이 등이 있으며 증상에 따라 류코트리엔 조절제나 혈관수축제 등이 추가된다.
수술요법 - 비갑개 성형술이나 비갑개 절제술, 레이저 수술, 고주파를 이용한 수술 등이 있다.
면역요법 - 원인 물질에 대한 면역계를 점진적으로 조절해 알레르기 반응을 줄이는 치료법으로 3~5년간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4. 예방법

 

봄철 알레르기 비염 예방을 위해 코 세척을 권장하는데 코세척은 코 점막의 섬모 운동을 활발하게 하고 알레르기 원인이 되는 항원 물질을 씻어내는데 효과적이다. 

 

멸균된 생리식염수나 끓여서 식힌 물에 적절한 농도의 소금을 녹인 식염수를 이용해 매일 코를 세척하면 좋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