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장례식장 예절
    장례식장 예절

     

    문상객의 옷차림

    예전에 우리 조상들은 평상복이 한복이었던 관계로 흰 옷을 입고 가는 것이 예의였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양복을 입는 관계로 문상객의 복장도 변모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화려한 색상의 의복이나 장식은 피하며, 가능한 무채색 계통의 단정한 옷차림이 무난하다. 고인 또는 상주와 각별한 문상객일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복장을 갖추는 것이 예의다.

     

    장례식장 복장
    한국장례협회

    반응형

    절하는 법

    1. 절의 의미

    - 절이란 몸을 굽혀 공경을 표시하는 인사 방법으로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지켜야할 많은 예절 가운데서도 상대편에 대한 공경과 반가움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행동 예절이다. 절은 윗사람을 공경하고 아랫사람을 공경하는 예로써 행하여지며 공경해야 할 대상을 상징하는 표상이나 의식행사에서도 한다.

     

    2. 공수법

    - 두 손을 모아 앞으로 잡는 것을 공수라 하는데 이는 공손한 자세를 나타내며, 모든 행동의 시작이다. 공손한 자세는 어른에게는 공손한 인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공손한 자세를 취하는 사람에게도 편안한 자세가 되어야 한다.

     

    절하는 법
    한국장례협회

     

    문상 시 인사말

    문상할 때에는 고인에게 재배하고 상주에게 절한 후 아무 말도 하지않고 물러나오는것이 일반적이며 전통적인 예의이다. 상을 당한 사람을 가장 극진히 위로해야할 자리이지만 그 어떤 말도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위로가 될 수 없다는 뜻이며 오히려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더 깊은 조의를 표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문상을 받은 상주 역시 말을 하지 않는 것을 모범으로 여기며 더욱이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전통적인 관습이다.

    상주의 부모인 경우 -상사에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친환으로 그토록 초민하시더니 이렇게 상을 당하시어 얼마나 망극하십니까?
    -환중이시라는 소식을 듣고도 찾아 뵈옵지 못하여 죄송하기 짝이 없습니다.
    -그토록 효성을 다하셨는데도 춘추가 높으셔서인지 회춘을 못하시고 일을 당하셔서 더욱 애통하시겠습니다.
    -망극한 일을 당하셔서 어떻게 말씀드려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망극:부모상에만 쓰인다.
    상주의 아내인 경우 -위로할 말씀이 없습니다.
    -옛말에 고분지통이라했는데 얼마나 섭섭하십니까?
    **고분지통: 아내가 죽었을 때 물동이를 두드리며 슬퍼했다는 장자의 고사에서 나온말이다.
    상주의 남편인 경우 -상사에 어떻게 말씀을 여쭐지 모르겠습니다.
    -천붕지통에 슬픔이 오죽하십니까?
    -하늘이 무너진다는 말씀이 있는데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천붕지통: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아픔이라는 뜻으로 남편이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이다.
    상제의 형제인 경우 -백씨 상을 당하셔서 얼마나 비감하십니까?
    -할반지통이 오죽하시겠습니까?
    **백씨 : 남의 맏형의 존댓말/ 중씨 : 남의 둘째 형의 높임말 / 계씨 : 남의 사내 아우에 대한 높임말
    **할반지통 : 몸의 절반을 베어내는 아픔이란 뜻으로 그 형제자매가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이다.
    자녀가 죽었을 때 그 부모에게 -얼마나 상심하십니까?
    -참척을 보셔서 얼마나 마음이 아프십니까?
    -참경을 당하시어 얼마나 비통하십니까?

     

    문상예절
    한국장례협회

    고인이 연하일 경우 문상 방법

    -아내의 상 또는 제사에는 절을 하나, 자식에게는 절하지 않는다.

    -아우, 조카 상에 절하지 않는다.

    -친구 부인이나 이성 사돈 상의 경우 평소 인사하고 지내던 사이면 절하고 평소 모르고 지내던 사이면 절하지 않는 것이 옛 원칙이라 하나 현대에는 두 경우 모두 절한다. 

    -상주 나이가 연하일 경우에는 문상객이 먼저 절하지 않으며 어른이 문상시는 상주가 먼저 절을 하면 답례를 할 뿐이다.

     

    문상 시 삼가해야 할 일

    -유가족을 붙잡고 계속해서 말을 시키는 것은 실례가 된다.

    -상주, 상제에게 악수를 청하는 행동은 삼가야 한다.

    -상주가 어리다 하여 반말이나 예의 없는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

    -반가운 친구나 친지를 만나더라도 큰소리로 이름을 부르지 말아야 한다.

    -낮은 목소리로 조심스럽게 말하고 문상이 끝난 뒤 밖에서 따로 이야기 하도록 한다.

    -고인의 사망 원인, 경위 등을 유가족에게 상세하게 묻는 것 또한 실례가 된다.

    -집안 풍습이나 종교가 다른 경우라도 상가의 가풍에 따라 주는 것이 예의다.

    -망인이 연만하여 돌아가셨을 때 호상이라 하여 웃고 떠는 일이 있으나 이는 예의가 아니다.

    -과도한 음주, 도박 등으로 인한 소란한 행위나 고성방가는 삼가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