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항 미리보기(총 15문항)1. 소비(지출)관리-3문항 - 돈을 계획적으로 쓰는 편이다.- 수입(소득) 범위를 넘어서는 수준의 과소비는 하지 않는 편이다.- 신용 카드를 쓸 때는 사용 대금을 충분히 갚을 수 있는지 먼저 생각해 본다 2. 자산관리-3문항- 향후 목돈이 들어갈 일에 대비해 돈을 계획적으로 모으고 있다.- 예금과 적금, 주식, 채권, 보험 등의 특성과 차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나의 자금 관리 목적에 맞는 금융 상품을 보유하고 있다.- 대출을 받았다면, 연체하지 않고 상환한다. 3. 변화대응-3문항- 기준 금리의 변화, 물가와 환율의 변화 등을 고려해 생활 속 의사 결정을 내린다.- 생활 속에서 경제적 의사 결정을 내릴 때 정부 정책이나 제도와 법 등을 살펴본다.- 팩트 체크를 통해 정확한..

최저임금제란?최저임금제(最低賃金制 / Minimum wage system)는 근로자의 생존권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최소한의 인간적인 생활이 가능할 정도의 급료를 근로자에게 지급해라." 라고 사업주들에게 법으로 강제하는 제도이다. 정부 차원의 복지 정책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국고가 아닌 사용자의 지출 하한선을 강제하기 때문에 시장 규제에 가깝다. 경제학적 의미로는 노동시장에서 노동의 가격에 최저한도를 설정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대한민국 헌법 제32조 제1항에서 최저임금에 대해 명시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최저임금제도는 대한민국 헌법 제32조에 의거한 최저임금법이라는 별도의 법률에 의해 규정되고 있다. 자주묻는 질문1. 최저임금이 적용되는 사업장과 근로자는 어떻게 되나요?- 근로자 1명 이상인 모든 ..

어나더지원단이란?서울디지털재단이 2019년부터 진행한 어르신을 위한 1대 1 디지털 교육 '어나더지원단'은 '어르신 디지털 나들이 지원단'을 줄여 부르는 말로, 55세 이상 장년/고령층이 또래 어르신의 눈높이에 맞게 스마트폰의 기초 등 디지털 관련 지식을 전수하는 프로그램이다. 사업은 2019년부터 총 650명의 어르신 강사를 양성해 서울시민 4만 8천여 명을 교육했다.구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합계어디나지원단 강사34명216명100명150명150명650명어르신 교육생464명2,183명8,323명16,662명20,812명48,444명 프로그램 소개은 3월부터 10월까지 8개월간 복지관, 경로당, 도서관 등 서울시 내에 마련된 교육장에서 디지털 기기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어르신을 대..

운영 개요서울시와 중구가 시청역 역주행 사고와 관련하여 사고를 목격하거나 사고 소식을 접한 뒤 트라우마를 겪는 시민들을 위해 '찾아가는 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트라우마란 개인의 대처 능력을 압도하는 고통스럽거나 충격적인 사건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말하며, 이는 무력감, 자아감의 감소, 모든 감정과 경험을 느낄 수 없음을 유발한다. 외상은 다음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사건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1. 외상의 종류-급성 외상: 사고, 자연재해, 폭행 등 스트레스를 유발하거나 위험한 단일 사건으로 인해 발생한다. -만성 외상: 가정 폭력이나 학대 등 매우 스트레스가 많은 사건에 반복적이고 장기간 노출되어 발생한다. -복합 트라우마: 종종 배신이나 착취를 수반하는 침입적이고 대인 관계적..